핀테크란 무엇인가? 사례와 기업들을 알아보자

 

핀테크란 무엇인가?

 

핀테크(Fintech) = 금융(Finace) + 기술(Technology)

 

금융서비스와 정보기술(IT)의 융합을 통한 금융 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합니다.

핀테크라는 용어 자체가 생소하신 분이라면 우리 일상에서 핀테크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은 모바일 뱅킹과 앱카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더 나아가 대출, 주식, 송금, 자산관리, 투자 등등 금융에서 다루는 모든 것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 왔습니다. 

 


핀테크 용어 정리

 

✓ 오픈 API : 인터넷 이용자가 웹 검색 결과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받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응용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한다. 구글은 구글맵의 API를 공개해 친구 찾기·부동산정보 등 300여 개의 신규 서비스를 창출했다.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

 

✓ 로보 어드바이저 : 로봇이 개인의 자산운용을 자문하고 관리해주는 자동화된 서비스다. 이용자가 온라인으로 계정을 만들고 자신의 수입, 목표, 수익률, 위험회피 정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로보 어드바이저는 비용이 싼 상장지수펀드(ETF)를 포함해 가장 적합한 투자 운용 자산 구성(포트폴리오)을 짜서 운용해 준다. 시장 환경이 변하면 포트폴리오가 자동적으로 수정되며, 연간 수수료는 운용자산의 0.5%로 기존 금융사의 절반 정도이며 연평균 수익률은 4~5%인 것으로 알려졌다.

 

 블록체인 : 기존 금융회사의 경우 통상 중앙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데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준다.

 

✓ 인터넷 전문은행 : 모든 금융서비스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하는 은행이다. 지점을 운영하는데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낮은 대출 금리나 저렴한 수수료 등을 고객에게 서비스로 제공하며 365일 24시간 운영한다.

 

✓ 크라우드 펀딩 : 자금이 필요한 개인, 단체, 기업이 웹이나 모바일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것을 말한다. P2P(개인 간 직거래) 금융대출형, 신생기업이나 개발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지분 획득을 하는 투자형, 금전적 보상과 상관없는 후원형, 기부형 등이 있다.

 

✓ 빅데이터 :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말한다. 데이터량이 폭증하고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이용자의 행동은 물론 위치정보, SNS를 통한 생각과 의견까지 분석·예측 가능하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신용평가, 사기 피해 방지 등 서비스를 제공하며 핀테크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테크 핀 : SNS, 전자상거래 등 기술기반의 업체(Tencent, Alibaba 등)가 구축해 놓은 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 ICT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의 줄임말로 정보통신기술이다. 컴퓨터, 미디어, 영상 기기 등의 정보매체를 운영·관리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정보를 수집·생산·가공·보존·전달·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아우르는 기술이다.

 

✓ 테스트베드(Test-Bed) : 새로운 기술·제품·서비스의 성능 및 효과를 시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금융시장과 소비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테스트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한 혁신금융서비스가 시장에 출현하는 것을 장려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

 

✓ 금융규제 샌드박스(Sand Box) : 모래놀이터에서 자유롭게 놀듯이 신기술·서비스에 규제를 적용하지 않고 실험·검증을 임시로 허용하는 것이다. 혁신적인 신기술과 서비스가 법률 등의 장벽에 막혀 출시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신청자에 한해 현행법상의 규제 적용을 일시 풀어주는 것이다.

 

✓ 레그 테크(Regtech) : 규제(regulation)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다. 기존 금융사업이나 핀테크 등 혁신적인 사업 모델을 운영할 때 각종 규제와 법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소비자 신뢰와 준법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규제 대응을 자동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 인슈(어) 테크 : 보험(insur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다. 블록체인, 바이오인증, 빅데이터 등을 이용해 절차를 줄이고 보험지급 등을 자동화하는 혁신적인 보험서비스이다.

 

 

출처 : Copyright 2018. 문화체육관광부 All Right Reserved.

 


국내 핀테크 기업

 

 

✓ P2P 금융 플랫폼 : 8퍼센트(에잇 퍼센트), 렌딧(렌딧), 미드 레이트(미드 레이트), 탱커 펀드, 엘리펀드, 팝펀딩, 빌리, 펀다, 테라 펀딩, 어니스트 펀드, 피플 펀드, 유니어스 펀딩 하이


P2B 금융 플랫폼 : 한국 어음중개(나인티 데이즈)

 

✓ 크라우드펀딩 : 와디즈, 오마이컴퍼니, 굿펀딩

 

✓ 결제 : 뱅크월렛, 페이게이트, 페이코

 

✓ 송금 : 토스

 

✓ 해외송금 : 코인원 트랜스퍼(크로스), 모인, 글로벌 머니 익스프레스

 

✓ 빅데이터 부동산 분석 : 집 펀드(집 펀드)

 

핀테크는 모바일 결제시장의 성장으로 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국제 모바일 결제시장은 2011년 1,011억 달러에서 2017년 7,214억 달러로 급성장했고, 산업 투자규모는 2008년 9.3억 달러에서 2017년 122.1억 달러로 10년 만에 12배 이상 늘었습니다.

 

핀테크 산업의 대표적인 분야인 페이(pay)는 카카오페이, 삼성 페이, 구글 페이, 애플 페이 등 경쟁이 치열하고, 액센추어(accenture)에 따르면 페이 시장은 2013년 29억 달러에서 2018년 80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했습니다.

 

국가별 핀테크 도입 지수

 

 

온라인 이용자 중 핀테크 서비스 이용 비중을 나타내는 핀테크 도입 지수(2019)*에서 우리나라는 2017년 조사 대비 2배 이상 상승(67%)해 싱가포르, 홍콩과 동일하며 영국(71%)과 유사한 수준으로 성장합니다.

2019년 CB-Insight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시장가치가 1조 원이 넘는 유니콘 기업 전체 393개 기업 중 핀테크 기업은 미국 9개사, 중국 2개사, 유럽 2개사, 한국 1개사(토스) 등 39개

 

2019년 세계 100대 핀테크 기업 : 미국 15개사, 영국 11개사, 중국 10개사, 호주 7개사, 한국 2개사

 

한국핀테크지원센터

http://fintechcenter.or.kr/kor/

 

한국핀테크지원센터

핀테크 생태계 활성화로 금융의 혁신과 성장을 지원합니다.

fintechcenter.or.kr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